미국 국무부가 한국 탄핵 사태에 대해 언급하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상대할 현재 한국 측 지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을 봤다는 평가도 있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각) 브리핑에서 '비상계엄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는 윤 대통령이 여전히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화 상대인가'를 묻는 말에 "우리는 대한민국 모든 관련 당사자와 소통의 문을 열어둘 것"이라고 말했다.
밀러 대변인은 "법적 절차와 정치 과정은 법치에 따라 일관되게 진행돼야 한다"며 "윤 대통령은 한국의 대통령이고, 한국 정치 과정은 한국 법과 헌법에 따라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린 한국 국민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며 "지난 한 주 동안 봤던 시련과 불확실성의 시기에는 더욱 그렇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한 주 동안 우리가 목격한 것은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이라며 "민주주의 회복력은 수십 년에 걸쳐 어렵게 얻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밀러 대변인은 '미국은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남용으로 인한 혼란 상태를 어떻게 보고 있느냐'는 질문에 "한국 내 정당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겠다"며 "앞으로도 정치적 이견이 법치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이 한미 공식 회담이나 행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국과 한국 간 동맹은 여전히 철통같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반도 평화와 안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밀러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 임기 종료 전 한미 핵 협의 그룹(NCG)회의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 직후 취소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그는 이날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회담을 언급하면서 "3국 동맹 강화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중요한 과제였으며, 임기 마지막 날까지도 계속 추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