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대만 고교부터 교육, 미 19조원 투입…반도체 인재 전쟁, 한국은 제자리
2
매미킴
12-07
조회수 2
추천 0

반도체 인재 육성 총력전

학내 클린룸에서 8인치 웨이퍼 공정 실습 중인 대학생들. [사진 서울과기대]

미국, 대만, 일본 등 반도체 기업을 보유한 국가들의 요즘 가장 큰 고민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엔지니어가 없다는 점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차세대 반도체가 시장을 좌우하는 가운데, 이를 개발하고 제조할 인력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다. 반도체는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기술과도 밀접해 국가 안보와 직결된 만큼 각국이 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인재 확보에 투자하고, 관련 법안을 제정하는 가운데 한국은 경기도 남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인력 육성에 나섰으나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태다.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의 절대 강자인 대만은 2021년 ‘국가중점분야 산학협력·인재양성 혁신조례’를 제정해 연간 반도체 인재 1만 명을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TSMC, 미디어텍 등 탄탄한 반도체 생태계를 자랑하는 대만도 인재가 태부족하다는 인식에서다. 2021년 5월에는 전국 12개 대학에 반도체 관련 아카데미 13곳을 세웠고 반도체, 인공지능(AI), 기계공학 관련 학과 정원을 6000명(학사 10%, 석·박사과정 15%) 이상 늘리는 등 한국에선 유례가 없는 과감한 정원 확대에 나섰다. 이뿐 아니다. 올해 9월부터는 36개 일반·직업계 고등학교에 반도체 교과목을 정식 도입했다. 반도체 공정 등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 관련 인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대만 경제지 코먼웰스는 올해 초 이런 인재 양성 계획에 대해 “요즘 대만의 반도체 인재들은 해외로 나갈 필요가 없다”며 “대만 정부와 현지 업계의 지원을 받는 반도체 아카데미를 거치면 업계에 필요한 고급 인재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 2031년 인력 5만6000명 부족 예상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반도체 원조 국가인 미국은 2022년 반도체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제정, 반도체 인재 양성에 본격 대규모 투자를 시작했다. 미 정부는 국립과학재단(NSF)을 통해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교육 등 반도체 인력 양성에 5년간 132억 달러(약 18조6634억원)를 투입했다. 최근에는 마이크론, 인텔 등이 고연봉, 영주권 등을 제시하며 한국·일본·대만 등의 반도체 인재를 공격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전 세계 반도체 패권 확보 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향후 반도체 미래를 결정지을 인력 확보 총력전이 벌어지고 있다. 대만, 미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등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국가들이 천문학적 규모의 지원책을 연이어 내놓지만 한국은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2031년이면 산업 현장에서 약 5만6000명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상한다. 반도체 산업인력을 채우기 위한 고군분투가 이어지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은 없는 상태다. 〈중앙SUNDAY 11월 23일자 1면〉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정부는 지난 2022년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을 발표해 반도체 특성화학과나 직업훈련과정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만, 미국보다 월등히 늦은 지난해에야 본격 인력 양성에 돌입하면서 아직 이렇다 할 결과물은 없다. 고려대·연세대 계약학과에서도 내년에야 첫 졸업생이 배출될 예정이다.


이에 평택·화성·용인 등 경기도 남부 지역 일대에 들어서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이 전문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시설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가 위치한 평택시는 2029년까지 카이스트 평택 캠퍼스 설립을 추진, 매년 1000명 규모의 고급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성균관대·경희대 등 대학과 한국나노기술원이 위치한 수원시는 산·학·연 거점을 만들어 차세대 반도체인 화합물 반도체 특성화 거점으로의 포부를 갖고 있다. 도내 반도체 기업 중 30%가 위치한 화성시는 2022년 카이스트-화성시 사이언스 허브를 열고 시스템반도체 등 실무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용인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손잡고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함과 동시에 오는 2027년 ‘용인반도체고’ 개교를 추진하고 있다.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경기도에서는 도내 반도체 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인력양성센터도 운영한다. 현재 도내에는 수원, 이천, 성남 등지에 반도체 인력양성센터가 있다. 하지만 지자체별 사업에는 고질병인 ‘칸막이’가 있다 보니 중복되는 정책이 많고,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남아있는 규제 때문에 사업이 수년째 지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익명을 요청한 경기도 소재 대학의 한 교수는 “반도체 인력을 양성한다곤 하지만 정작 교육 장비 하나 없는 곳이 수두룩하다”면서 “대학교수조차 강의하기 어려운 첨단 반도체 분야를 지자체가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실제 반도체인력양성센터에는 반도체 제조시설의 핵심인 클린룸조차 갖춰지지 않은 곳이 대다수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공 주도의 인력양성 사업의 방향과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의 조건이 달라 여전히 일자리 미스매치가 벌어지고, 실질적 인재 배출이 미미하다”고 전했다.


“공공 주도 아닌 기업이 인재 키우게해야”

그래픽=양유정 기자 yang.yujeong@joongang.co.kr

2022년 이후 수도권 반도체학과 정원규제 등 일부 규제가 해소됐지만 이 또한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도체 관련 인력 양성방안 발표 이후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반도체 학과 정원은 소폭 늘어났다. 하지만 학부 인원의 10%를 늘린 대만과 비교하면 ‘언 발의 오줌 누기’에 불과하다는 전언이다. 2020년부터 신설을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고등학교 또한 규제 문턱에 걸려 2년 연속 교육부 마이스터고 지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전문가들은 대만, 미국처럼 인력 양성과 관련된 지원법을 만들어 인재 확보를 위한 기틀을 잡고, 산적한 규제는 과감하게 철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세액공제·인센티브 확대뿐만 아니라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밑바닥부터 다시 다져야 하는 단계”라며 “들쑥날쑥한 연구개발(R&D) 지원 등을 법으로 명문화해 반도체 사이클과 관련 없이 인재가 계속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전했다.


기업이 자체 인턴십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중견·중소기업들에 인력 채용 지원금 등을 지원해 현장에서 실무를 배우면서 채용과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것이 공공이 할 일”이라며 “공공이 직접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틀에서 벗어나 기업들이 직접 인재를 채용, 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전했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직접 인재양성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인력을 훈련할 수 있는 장비 등을 지원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유진 기자 oh.yoojin@joongang.co.kr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